종교철학의 과제. 메모발췌

+. 종교철학의 과제. 메모발췌 '종교철학의 과제'는 종교적 현상의 의미를 파악하고 규정하기 위해서, 먼저 이 현상을 그와 유사한 다른 현상들로부터 구별하고, 그것을 독자적 현상으로서 증명해야만 한다. 즉, 종교철학은 여러종교 형상들이 종교적 현상의 본질 구조로부터 어떻게 해서 생겨 나오는가, 그리고 어떤 본질적 계기들이 그것 안에서 발현되고 형태화되었으며, 거기에 또 어떤 본질적 법칙이 지배하고 있는지를 밝혀야 한다. ... 종교적 현상은 단지 내적, 인격적 경함 안에서만이 아니라 외적, 역사적 경험 안에서도 우리와 마주친다. 따라서 시선을 안으로도 또 밖으로도 향하게 해야 한다. 안으로의 시선은 내밀성의 장점을 지닌다. 즉 우리는 종교의 가장 내면적인 거룩함 속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밖으로..

View More

하나님의 의지

본회퍼의 '하나님의 뜻' 이해 “하나님의 뜻은 수많은 가능성 아래 매우 깊이 숨겨져 존재할 수 있다. 하나님의 뜻은 처음부터 고정된 규범의 체제가 아니라, 다양한 삶의 상황 속에서 항상 새롭고 다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를 항상 거듭 분별해야 한다(롬 12:2, 엡 5:10,17). 인간의 마음과 이해와 관찰과 경험은 이러한 분별 과정에서 서로 협력하기 마련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선과 악에 대한 자신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님의 생생한 뜻이다. 그리고 인간이 하나님의 뜻을 인식하는 것은 그의 손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은혜 안에 있다. 그리고 하나님의 은혜는 매일 아침 새로우며, 매일 아침 새로워지기를 원한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의 뜻은 매우 진지하게 ..

View More
2018. 9. 19. 01:46

교회는 예배당인가? 인격공동체인가?

#. 교회는 예배당인가? 인격공동체인가? - 브룬너, 를 읽고나서 우리는 흔히 '교회'라는 말을 들을 때, 건물로서의 교회에서 펼쳐지는 '예배당'를 떠올린곤 한다. 실제로 성가대의 찬양소리와 성만찬과 세례가 시행되는 거룩한 장소에 대한 이미지는 그리스도교 전통에서 중요하게 취급되어 왔다. 조금 시야를 넓혀 생각해 보아도 그리스도교의 교회들(그리스정교회, 로마카톨릭, 성공회, 개신교)은 모두 '건물로서의 교회'와 '거룩한 성례전'이 시행되는 '장소'가 곧 교회라고 생각하는데 그다지 어려움을 격지 않는다. 적어도 지금은 말이다. 하지만, 브루너는 라는 책에서 이러한 '건물과 전례로서의 제도화된 교회'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그는 교회개념만큼 교회를 오해하게 하는 단어가 없다고 비판하는 것이다. 실제로 ..

View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