앎의 언어와 삶의 언어
Posted by 놀이를 회복하는 시간
#. 앎의 언어와 삶의 언어. 삶으로 관통하는 직관이 없이 앎의 축적만으로 지혜로운 삶은 가능할까. 지혜로운 삶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왜 지혜롭고자 할까. 우리의 앎의 목적은 단순히 지식을 축적하는데 그치진 않을 것이다. 사람에 따라 앎은 활용되기도 하고, 전해지기도 하고,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어떤 의미가 되었든 앎은 그 배후에 보다 근원적인 삶의 '방향성'을 함의하고 있다. 과연 앎은 삶에 어떤 영향을, 얼만큼 줄수 있을까. . i. 고대 : 진리(앎)의 인식. '동굴에 갇힌 자들의 비유'는 플라톤의 대표작 의 중간에 나온다. 이것은 실재의 본성을 설명하는 플라톤으 이데아론에 대한 분명한 그림을 제공해 준다. 플라톤에 따르면 사람들의 대부분은 갇힌 자들처럼 순전한 현상의 세계에 만족하고 산다. 오..
View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