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면의 구속
Posted by 놀이를 회복하는 시간
그분은 '환경'이 아니라면, 내 '내면'에 반드시 구속을 이루신다. 때로는 '사람들에게 벌어지는 일'보다 '사람들 안에 벌어지는 일'이 중요하다. 때로는 그들이 '무엇을 극복하거나 성취하는가'보다 '어떤사람이 되는가'가 더 중요하다. ㅡ. 제럴드 싯처, 하나님의 은혜, 148
View More그분은 '환경'이 아니라면, 내 '내면'에 반드시 구속을 이루신다. 때로는 '사람들에게 벌어지는 일'보다 '사람들 안에 벌어지는 일'이 중요하다. 때로는 그들이 '무엇을 극복하거나 성취하는가'보다 '어떤사람이 되는가'가 더 중요하다. ㅡ. 제럴드 싯처, 하나님의 은혜, 148
View More사르트르: 스스로 만들어 나가야 하는 ‘실존’ /이기상 교수님 『존재와 무』는 그것의 출현과 함께 가히 혁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 작품은 전통적인 학술 논문의 분위기를 완전히 뒤흔들어 놓았다. 독자들은 갑자기 전혀 새로운 방식의 철학함과 직면하게 된다. 이 책에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좇아 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하이데거가 현상학을 ‘존재’의 문제에 응용했다면 사르트르는 그것을 ‘자유’의 문제에 재응용한 셈이다. 그는 후설의 방법을 실존주의적 방향으로 발전시킨 하이데거에 동의한다. 그러나 그는 실존주의가 근본적인 ‘인문주의’의 바탕이라고 선언한 점에서 하이데거와 다르다. 사르트르에 의하면 존재가 아니라 인간이 실존주의 무대의 중심을 차지한다. 사르트르는 하이데거와는 달리 “본래성”을 “기초 존..
View More#. 역사적 그리스도.. 본회퍼는 그리스도론에서 ‘역사적 그리스도’라는 독특한 표현을 쓴다. ‘역사적’ 예수도 아니고, 신앙의 ‘그리스도’도 아닌 ‘역사적 그리스도’, 그것은 그가 그리스도를 역사적 영향력으로 보거나, 반대로 초역사적 그리스도상으로 보려는 모든 견해들에 대한 거부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견해들은 필경 그리스도를 비인격적인 ‘힘’이나 ‘인품’따위로 파악하려 들기 때문이다. 본회퍼에게 그리스도는 ‘인격’ 안에서 나타난다. 다시말해 그리스도는 결코 우리의 사고의 대상으로 파악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하지만 수많은 그리스도교 역사 속에서 그리스도는 우리의 부적절한 사고형태 속에서(누구물음이 아닌 어떻게 물음) 그 자리를 잃어버린 것이다. 또한 본회퍼는『그리스도론』에서 "당신은 누구십니까?" 라..
View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