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큉, 그리스도교 (2)

한스큉, 그리스도교 (2) 2부. 역사. 다시 한번 말해두자,분석의 특징으로는 첫째, 그리스도교에 대해 종파주의적 관점이 아니라 종파를 초월한 일치운동적 관점을 제공한다. 둘째, 중대한 정신사적, 세계사적 교류에 대해 유럽중심 시각이 아니라 보편사적 시각을 애쓰려 한다. 셋째, 역사에 대해 과거 지향적 고찰이 아니라, 비판적 관점에서 현재와 관련시키는 고찰을 추구한다. 초창기 그리스도계의 중심지와 모교회는 로마가 아니라 예루살렘이었다. 유다교의 본류 속에서 시작된 초창기 그리스도교는 유다교 세계와 외적 일치를 보존하며 유다교의 한 분파로 여겨졌다. 첫 그리스도인 공동체로서 유다계 그리스도교 패러다임을 정리하자면 크게 두가지이다. 첫째, 유다계 그리스도인들은 메시아로서 오신 예수에 대한 믿음과 모세의 의식..

View More
2017. 7. 24. 23:32

한스큉, 그리스도교 (1)

한스큉, 그리스도교 (1) 1부. 본질에 대한 물음. "그리스도교는 더 그리스도교다워져야 한다." 라고 시작하는 한스큉의 그리스도교가 읽고 싶었던 이유는 그의 학문적 탁월함 때문이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학문보다 '정직'을 추구했기 때문이었다. 종교의 특유하고 본질적인 요소에 관한 이야기는 체계적인이고 통일적인 체제에 대한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물음을 겨낭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극히 실천적인 물음, 즉 그리스도교에 있어서 언제까지나 타당하고 끊임없이 구속력을 지니며, 결코 폐기될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본질을 겨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1. 그리스도교의 본질과 왜곡. i. 그리리스도교가 더 그리스교 다워지려면 어떠해야 하는가? 이 질문은 근본적이고 철저할 것이다. 이 대답은 말 그대로 철저히 복음..

View More

20170427

"마음을 편히 가지고, 하고 싶은 것을 해. 오히려 그러다 보면 이전 방식으로는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될 거야. 한계가 왔다는 것은 좋은 거야. 새로운 나를 발견하는 시간이 되지.. " ㅡ. 2017년 4월 27일 대학원 P형님과의 대화 중 메모

View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