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근할 수 없는 신, 그리고 접근 가능한 타자.

레비나스의 이야기다. "주체-대상 관계로 이끄는 비인격적 관계 속에서는 신에 접근 할 수 없다. 보이지 않지만 인격적인 신은 인간의 모든 현전 바깥에서 접근되는 것도 아니다. 이상적인 것은 '최상급으로 존재하는 신'이나 모든 '대상적인 것의 승화로서의 신'이 아니다. 또한 사랑의 고독 속에서 생겨나는 '너로서의 신의 승화'를 일컫는 것도 아니다. 신에게로 이끄는 돌파구가 생산되기 위해서는 정의의 작업, 즉 '대면의 올곧음'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형이상학은 사회적 관계가 행해지는 곳에서, 오직 우리가 사람들과 맺는 관계 속에서 행해진다. 즉 인간들과 분리되어서는 '신'에 대한 어떠한 '인식'도 있을 수 없다. 따라서 '타인'이 곧 형이상학적 진리의 장소 그 자체이고, 신과 맺는 나의 관계에서 필수불가결한 ..

View More

사르트르 발췌

사르트르: 스스로 만들어 나가야 하는 ‘실존’ /이기상 교수님 『존재와 무』는 그것의 출현과 함께 가히 혁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 작품은 전통적인 학술 논문의 분위기를 완전히 뒤흔들어 놓았다. 독자들은 갑자기 전혀 새로운 방식의 철학함과 직면하게 된다. 이 책에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좇아 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하이데거가 현상학을 ‘존재’의 문제에 응용했다면 사르트르는 그것을 ‘자유’의 문제에 재응용한 셈이다. 그는 후설의 방법을 실존주의적 방향으로 발전시킨 하이데거에 동의한다. 그러나 그는 실존주의가 근본적인 ‘인문주의’의 바탕이라고 선언한 점에서 하이데거와 다르다. 사르트르에 의하면 존재가 아니라 인간이 실존주의 무대의 중심을 차지한다. 사르트르는 하이데거와는 달리 “본래성”을 “기초 존..

View More

철학연습3. 구조주의, 그 너머(2)

구조주의, 그 너머(2) 그 너머 소쉬르의 언어학에서부터 시작된 구조주의는 언어의 체계와 각각의 체계를 갖춘 보이지 않는 구조들로 무장하고 많은 분야로 확산되어 갔다. 바르트는 소쉬르의 구상을 통해 사화와 문화현상을 분석했고, 라캉은 프로이트의 무의식조차 언어의 체계로 재해석해냈다. 푸코는 시대와 권력에 따라 달라지는 심층을, 데리다는 서구 사상이 자리잡고 있는근거들이 최종적일수 없다는 해체를강조함으로 다각적인 심층구조의 반성은 포스트모더니즘과 그 너머라는 새로운 반성철학을 요구하도록 시대를 부추기고 있다. 1) 자크 라캉 라캉은 프로이트의 이론에 소쉬르의 언어학을 적용함으로써 무의식을 좀 더 선명하고 과학적인 영역으로 끌어올렸다. 다시말해 라캉은 프로이트의 의학적 혹은 개인 심리학적 욕망 이론을 언어학..

View More

철학연습2. 구조주의 그너머(1)

구조주의 그너머 철학사적으로 구조주의는 현상학적 철학의 대척지에서 수립되었다. 20c 초 구조주의는 사르트르가 내세운 인간 의식이 환상이라는 것을 구조로 밝혀주었고, 냉전처럼 하나의 이념을 내세우는 것을 거부했으며, 기반이 다른 각각의 현대철학에 맞서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이 언어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면서 시작되었다. 언어학과 인류학연구를 통해 과학성을 배제한 현상학과 실존주의에 대해 법칙성을 부각시키면서 등장한 구조주의는 보이지 않는 '심층 구조'가 세계를 해석하기 위한 키라고 말하며 한 시대를 풍미하기 시작했다. *배경 - 타자배제 역사의 반성, 인간중심을 비판 실존주의가 합리주의를 비판하고 실존을 강조하며 인간중심의 주체철학을 전개했다면, 구조주의는 거꾸로 인간중심의 주체철학을 비판하고 합..

View More
2017. 7. 24. 23:49

철학연습1. 현상학과 그 너머

현상학 , 그 너머 * 현상이란 말의 발전 : 외관(단순경험)->인식 현상학은 제목 그대로 경험주의이다. 서구 철학의 역사라는 것이 우리 감각에 나타나는 외관을 넘어서 세계의 본질을 사유하려는 것이었기 때문에 감각을 통해서 나타난 외관은 참되는 못한 것(가짜)이라는 뉘앙스로 부정적으로 인식되어왔다. (칸트라는 철학자도 현상은 인식 주체에 의해 구성되어질때만 의미를 갖다는다고 했었죠.) 그런데 이 현상이라는 것이 의식의 구성을 받아야만 의미를 갖는것이 아니라 그것 자체로, 실재성, 존재성을 듸게 된다고 말하는 것이 현상학의 시작이었다. "현상은 그 자체로서 의미를 지닌다" *19세기 반성철학 현실세계를 넘어서는 형이상학적 사유를 추구하기보다는 현실 세계 자체에 대한 탐구에 경도된다. 현상학의 등장으로 반성..

View More